지난 번 글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간다
- 옴의 법칙 $V=IR$
- 저항은 말 그대로 어떤것에 대한 저항을 한다.
- 저항의 단위는 Ω로 쓰고 Ohm(옴)이라 읽는다.
- 전압은 단위는 V로 쓰고 Volt(볼트)라 읽는다.
- 전류의 단위는 A로 쓰고 Ampere(암페어)라 읽는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직렬저항, 병렬저항의 연결을 보면서 계산하는 방법을 보도록 한다.
1) 직렬저항
직렬저항은 저항이 2개 이상일 때 연속적으로 이어 놓은 저항을 말한다.
왼쪽 아래의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하도록 하자.
왼쪽의 그림을 보면 5볼트의 전압에 100옴의 저항이 2개 연속적으로 붙어있다.
맨 아래의 표시는 접지 표시인데, 여기서는 0V라는 '기준점'으로 보도록 하자.
저항은 연속적으로 붙어있으면 두개가 합성이 된다.
이 공식은 직렬 합성저항을 구하는 공식이다.
$R_{Total} = R1 + R2$
그렇다면 전체적인 +5V에서 접지까지의 저항값을 R_Total로 보고 이 값을 구하면
$\underline{R_{Total}= R1+R2=100+100 = 200}$Ω 이 되는 것이다
바로 왼쪽에 있는 이 그림처럼 말이다.
이렇게 '100옴 저항 두개와 200옴 저항 한개는 직렬회로에서는 같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것은
+5V에서 접지까지의 전류 흐름을 보면 전류의 흐름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산해보자
- 100옴의 저항 두개
$V = IR$
$-> 5 = I X (100+100)$ - 여기서 위의 직렬저항 공식에 따라 100옴 두개를 더한다.
$-> I = 5/200$
$-> I = 0.025A$
일단 하나 구했다.
- 200옴의 저항 하나
$V = IR$
$-> 5 = I X 200$
$-> I = 5/200$
$-> I = 0.025A$
두 회로가 같은 전류의 흐름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이거 말고 한,두개 더 알아야 할 것이 있기는 한데, 펌웨어 엔지니어로서는 이정도만 알면 되므로
마지막장에 볼 생각이 있으면 보도록 하게 쓰도록 하겠다.
2) 병렬저항
왼쪽에 보이는 것이 아주 간단한 병렬 저항 회로이다.
직렬 회로는 5V전압이 하나의 저항에서 넘어가 다음 저항으로 넘어가지만
병렬 저항회로는 두 저항 모두에 같은 전압을 공급한다.
저항 회로를 내가 직접 쓰고싶은데, 여기에는 공식쓰는 항목이 없는 것인지내가 못찾는 것인지 몰라서 아래의 그림을 대체하도록 한다.
하게 된다면 추후에 수정하도록 하겠다.
그렇다면 계산해볼까?
위의 분자는 내버려두고 아래 분모부터 계산해보자
R1과 R2가 100이니 총합은 2/100이다.
이것을 풀어보면
$R_{Total} = \frac{\frac{1}{1}}{\frac{2} {100}}$이 된다.
이것을 계산하면 $100\div 2 = 50$
즉, $\mathbf{R_{Total}}$은 50옴이 된다.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이제 전류는 어떻게 될까?
$V = IR$이라는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 5 = I X 50$
$-> I = 5/50$
$-> I = 0.1A$ 가 된다.
이정도면 간단한 계산정도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다음에는 위의 두 회로에 대해서 알았으니,
전압 분배와 전류 분배 회로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다.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댓글로 남긴다면 수정 후 내용을 남기니 댓글 바랍니다.
'[BrightHouse] > Circui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편] 저항(Resistor) - 4 (0) | 2020.09.06 |
---|---|
[1편] 저항(Resistor) - 3 (0) | 2020.09.01 |
[1편] 저항(Resistor) - 1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