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하였다.
- 저항의 시리얼 확인법
- 저항의 크기, 오차 읽기
- 저항의 값 읽기
오늘은 추가적으로 저항을 전압-전류에 따른 선택 방법을 안내하도록 하겠다.
0402 저항으로 보았으니 계속 이걸로 보도록 하자
Rated Power는 $P=IR$이 이 용량을 초과하면 견딜 수 있더라도
파손되거나, 타거나, 쇼트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대다수는 열이 오르면서 연기가 나고, 타기 때문에 교체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W는 전력의 단위이므로 Watt(와트)라고 읽도록 한다. 이것은 Circuit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1/32를 계산하면 0.03125[W]인데, 불편하니까 이것을 1000으로 곱하면 단위는
milliwatt(밀리와트)인 [mW]로 바뀌고 31.25[mW]로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저항은 31.25[mW]까지 견딜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추후에도 저항을 선택할 때 계산 후 위의 도표를 보고 전력에 맞는 저항을 찾을 수 있다.
빨간 별은 마지막으로 하고,
TCR에 대해 알아보면 저항의 온도계수를 말하는 것인데
상온(20~25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납땜 혹은 PCB를 양산할 때 열에 의해 변화가 있기는 한다.
또한, 이것은 지속적으로 해당 열이 발생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므로
엄청난 열이 있는 곳이나 추운곳, 기기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혹여나 계산을 해보고 싶다면 아래의 Rohm사 링크를 따라가서 확인해보도록 한다.
이제 빨간 별이 달려 있는 MWV와 MOV를 보도록 하자
다시 등장한 직렬회로이다.
이녀석의 크기는 2012로 써져있지만, 0402로 기준을 잡고 계산해보도록 하자
MWV와 MOV에 대한 설명이 다음과 같이 영어로 되어있다.
"연속적인 DC나 AC(평균값)이고, 이것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sqrt{P\times R}, E : 정격 전압[V] P : 정격 전력[W] R : 표시된 저항[Ohm]$$
"계산된 값이 MWV를 초과할 경우 전압은 MWV까지로 제한된다. 다르게 말하면 정격전압이 더 낮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정격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사용하여야한다는 뜻이다.
1) $V = IR$에 의해서 $5 = I\times 200$이다. 전류는 0.025A(결과 1)
2) $P = IV$공식(Circuit에서 다시 다루도록 하겠음)에 의해 $5\times 0.025 = 125$ 전력은 0.125W(결과 2)
즉, 이 저항에 걸리는 전력은 0.125W인 것이다.
방금 저항은 1/32 즉, 0.03125[W] 또는 31.25[mW]라고 했다. 이 녀석도 단위를 바꾸면 125[mW]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녀석은 저항의 역할을 하다가 과도한 열로 인해 불타오르게 될 것이다.
이제는 2012 사이즈로 계산해보자
모든 결과값은 같다. 즉 125[mW]인 것이다. 위로 스크롤하여 2012의 전력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전력은 1/8 즉, 0.125[W] 혹은 125[mW]인 것이다. 정확하게 맞아떨어진다.
하나 이럴 경우 오차율의 영향을 받거나 혹은 전력량의 최대치를 쓰기 때문에 파손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상당히 애매하다. 그러므로 이 녀석은 반드시 조금 더 큰 녀석인 3216을 쓰도록 한다. 3216은 250[mW]까지 견디기 때문이다.
MWV는 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전압인데, 이 녀석은 구동이 될 때의 최대한 견딜 수 있는 전압을 말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E=\sqrt{P\times R}$
그럼 0402로 계산해보자
우리는 위의 공식에서 P = 0.03125[W], R = 100[Ω]임을 알고 있다.
또한, 0402 저항의 최대 작동 전압은 15V이다.
$$E=\sqrt{0.03125\times 100}\fallingdotseq 1.7[V]$$
가 된다.
그러므로 1.7V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지만 위에서 계산하였다시피
전력에서의 문제가 드러나므로 3216의 저항을 사용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 부분도 나는 최근에 알게 된 부분이라 자세하지는 않다.
혹시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 꼭! 부탁한다...
또한, MOV는 어떻게 해서든 30V가 넘으면 바로 죽는다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MWV기준으로만 보면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 MWV의 두 배이다.-
이 정도면 충분히 저항에 대한 데이터 시트는 이해했다고 볼 수 있다.
틀리거나, 질문사항은 댓글로...
'[BrightHouse] > Datashe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D] LED 데이터시트 서론 (0) | 2020.09.23 |
---|---|
[저항] 저항 Datasheet - 1 (0) | 2020.09.06 |
[서론] Datasheet 읽기 (0) | 2020.08.25 |